앉아 있는 직장인, 엉덩이 근육이 사라지고 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하루 8시간 이상 책상 앞에 앉아 일하는 당신, 혹시 요즘 허리가 자주 아프거나, 오래 서 있으면 금방 피곤하지 않으신가요?
그렇다면 지금 당신의 엉덩이 근육, 즉 ‘둔근(臀筋)’이 사라지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엉덩이 근육은 단순히 '앉는 곳'이 아니다
엉덩이 근육은 단순히 앉을 때 쿠션 역할을 하는 부위가 아닙니다.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근육인 **대둔근(gluteus maximus)**은 우리가 걷고, 뛸 수 있도록 골반과 하체의 축을 지지합니다.
이 근육이 약해지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
허리통증
-
둔근이 골반을 지지하지 못하면 하중이 척추로 이동해 허리에 무리를 줍니다.
-
-
무릎 및 발목 통증
-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 균형 잡기가 어려워지고, 무릎 관절에 과부하 발생
-
-
엉덩이 처짐 & 체형 변화
-
힙이 뒤로 빠지고, 골반 틀어짐으로 이어져 체형이 불균형해집니다.
-
-
기초대사량 저하 → 살찌기 쉬움
-
대둔근은 대사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위 중 하나입니다.
-
왜 사라지는가? ‘앉아 있는 습관’이 범인
둔근이 퇴화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속적인 앉은 자세입니다. 앉아 있는 동안:
-
둔근은 수축하지 않고 늘어진 상태로 장시간 유지됨
-
반면 허벅지 앞쪽 근육(대퇴직근)은 수축되어 근육 밸런스가 무너짐
-
이로 인해 둔근은 비활성화(dormant glutes) 상태가 되고, 점차 기능을 잃게 됩니다
실제로 하루 6시간 이상 앉아 있는 직장인은 1년 사이 둔근 근육량이 10% 이상 감소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내 엉덩이 근육이 약해졌다는 신호들
다음 중 해당되는 항목이 있다면, 당신의 둔근은 이미 약해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
한 쪽 다리로 오래 서 있기 어렵다
-
계단을 오를 때 허벅지보다 무릎이 먼저 아프다
-
장시간 앉은 뒤 일어설 때 허리가 뻐근하다
-
엉덩이 볼륨이 점점 줄고 있다
엉덩이 근육을 깨우는 생활 루틴
-
1시간마다 일어나서 2분 걷기
-
둔근을 깨우는 가장 쉬운 습관. 알람을 맞춰 습관화
-
-
데스크 앞에서도 가능한 ‘앉은 채 엉덩이 조이기’
-
엉덩이를 5초간 조였다 풀기, 10회 반복만으로도 효과 있음
-
-
퇴근 후 5분 루틴: 둔근 전용 운동 3종
-
힙 브릿지(Glute Bridge)
-
덩키킥(Donkey Kick)
-
클램셸(Clamshell)
-
-
계단 이용을 늘리기
-
계단 오르기는 최고의 하체 근육 운동. 단, 천천히 정확한 자세로
-
사라지는 근육은 몸의 경고
엉덩이 근육은 나이와 함께 가장 먼저 약해지는 근육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그 중요성을 종종 간과합니다.
당신의 둔근이 약해지고 있다는 것은 허리, 관절, 전반적인 활력도 함께 떨어지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마무리하며
‘엉덩이가 죽었다(Dead Butt Syndrome)’는 표현이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농담이 아닌, 현대인에게 진짜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오늘부터라도 책상에서 일어나는 횟수를 늘려보세요. 그리고 하루에 5분이라도 엉덩이 근육을 다시 깨우는 루틴을 실천해보세요.
엉덩이가 살아야, 몸도 다시 살아납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